[1단계]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원하는 데이터 자동 생성
: 인메모리 DB 사용으로 실행시 데이터가 사라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행시마다 데이터를 넣을 SQL 파일 생성
: resource - data.sql 파일 생성 및 SQL 코드 작성
INSERT INTO member (id, name) VALUES (1, 'name 1')
INSERT INTO member (id, name) VALUES (2, 'name 2')
INSERT INTO member (id, name) VALUES (3, 'name 3')
[2단계] application.yml 설정
spring:
jpa:
show-sql : true // (1)
properties :
hibernate :
format_sql : true // (2)
defer-datasource-initialization : true // (3)
(1) show-sql, (2) format_sql : 애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에서 DB에 쿼리가 할 일이 있으면 실행 구문을 모두 보여주는 옵션
(3) defer-datasource-initialization :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테이블을 생성하고 data.sql 파일에 있는 쿼리를 실행하는 옵션
[3단계] 콘솔창(로그창)에서 테이블이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
[4단계] 포스트맨으로 HTTP 요청 시도
'학습 기록 > 스프링 부트3 백엔드 개발자 되기[자바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장.1] 테스트 코드 개념 (0) | 2023.08.30 |
---|---|
[03장.3] 스프링 부트 요청-응답 과정 한 방에 이해하기 (0) | 2023.08.29 |
[03장.2] 2. 프레젠테이션, 서비스, 퍼시스턴스 계층 만들기 (0) | 2023.08.29 |
[03장.2] 1. build.gradle에 의존성 추가 (0) | 2023.08.28 |
[03장.1] 2.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디렉터리 구성 & main 디렉터리 구성 (0) | 202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