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기록 (6) 썸네일형 리스트형 [6일차] 1~5일차 요약 컴퓨터 하드웨어는 모든 종류의 디지털 하드웨어를 아우르며, 집적회로의 발명을 시작으로 60년 동안 기하급수적으로 성능이 향상되었는데, 일정 기간마다 회로는 꾸준히 특정 비율로 더 작아지거나 저렴해지거나 성능이 높아졌다. 이는 무어의 법칙으로 약 18개월마다 특정한 크기의 집적 회로에 들어갈 수 있는 소자의 수가 약 2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엄청난 성능의 향상은 우리의 삶을 바꿔 놓는다. 성능과 용량의 증가는 컴퓨팅과 컴퓨터에 대한 인식도 변화시키는데, 최초의 컴퓨터는 탄도 계산, 무기 설계 등 공학용 연산에 적합한 고속 계산 장치로서 여겨졌다면, 현재는 사무 데이터 처리 용도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목적으로도 사용중이다. 컴퓨터의 기본 아키텍처(각 부분이 어떤 것이고 무슨 일을 하고 어떻게 서로 .. [5일차] 50년 넘게 유지된 무어의 법칙 무어의 법칙 : 기하급수적인 증가 양상 : 무어는 적은 데이터 포인트를 기반으로 추정하면서,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일정한 크기의 집적 회로에 들어갈 수 있는 트랜지스터의 수가 매년 두배가 된다고 관측했으며, 적어도 2년마다 컴퓨팅 성능이 두 배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 약 60년 전에 비해 집적 회로에는 100만 배가 훨씬 넘는 트랜지스터가, 프로세서에서도 수십억개로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회로의 규모를 특정짓는 집적 회로의 배선 폭은 꾸준이 줄어들어 왔기 때문인데, 지금의 폭은 7나노미터 수준이다. 집적 회로의 선폭이 1000배 줄면 주어진 영역에 들어가는 소자의 수는 그 제곱만큼(백만배) 늘어나기 때문에 위와 같이 수십억개로 증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무어의 법칙은 자연의 법칙이 아닌 반도.. [4일차] 가로세로 1cm 프로세서 칩 노트북 용 하드 드라이브는 용량이 10~100배까지 늘어났지만고 겉보기에는 거의 차이가 없을정도로 변화가 없고, SD 카드 패키지는 용량은 훨씬 커졌지만 가격은 매우 저렴해졌다. 하지만, 컴퓨터의 부품에 올라가있는 회로 기관을 보면 부품의 수가 더 적지만 부품 내부에 더 많은 회로가 들어가 있고, 배선이 더 미세하며, 연결 핀의 수가 훨씬 더 많고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차 회로는 몇 가지 기본 소자가 매우 많이 모여 만들어진다. 기본 소자로는 논리 게이트(Logic gate)가 있다. 논리 게이트란, 한 개나 두 개의 입력 값을 바탕으로 단일 출력 값을 계산하며, 전압이나 전류 같은 입력 신호를 이용해 전압이나 전류인 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따라서 게이트가 필요한 만큼 적절한 방식으로.. [3일차] HDD와 SSD 차이 프로세서는 산술 연산과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 주 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는 기억과 저장을 담당하며,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는 운영자와 상호작용한다. 컴퓨터를 추상화한 논리적/기능적 아키텍처를 살펴보면 프로세서, 주 기억 장치, 보조 기억 장치, 다양한 구성요소(디스플레이 화면, 입출력 장치 등)이 존재하며 그 중간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버스(bus)라는 여러 개의 전선이 있어 서로 연결되어 있다. https://kcode-recording.tistory.com/151 [2일차] 프로세서 속도와 심장 박동수 완성된 장치가 범용 컴퓨팅 기계가 되려면 산술 연산, 기억-저장, 제어, 운영자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특정 주요 기관을 포함해야 한다. 위의 내용은 1일차의 맨 처음 나왔던 인용구로 컴퓨팅 기 .. [2일차] 프로세서 속도와 심장 박동수 완성된 장치가 범용 컴퓨팅 기계가 되려면 산술 연산, 기억-저장, 제어, 운영자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특정 주요 기관을 포함해야 한다. 위의 내용은 1일차의 맨 처음 나왔던 인용구로 컴퓨팅 기계의 조건이 나와있다. 이는 아래와 같이 해석이 가능하다. 프로세서는 산술 연산과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 주 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는 기억과 저장을 담당하며,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는 운영자와 상호작용한다. 컴퓨터를 추상화한 논리적/기능적 아키텍처를 살펴보면 프로세서, 주 기억 장치, 보조 기억 장치, 다양한 구성요소(디스플레이 화면, 입출력 장치 등)이 존재하며 그 중간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버스(bus)라는 여러 개의 전선이 있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오늘 읽어본 내용은 프로세서와 주 기억 장치에 대한 내.. [1일차] 컴퓨터의 논리와 구조 완성된 장치가 범용 컴퓨팅 기계가 되려면 산술 연산, 기억-저장, 제어, 운영자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특정 주요 기관을 포함해야 한다. - 아서 벅스, 허먼 골드스타인, 존 폰 노이만, 1946 컴퓨터의 구조는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로 나눈다. 논리적(기능적) 구조 - 어떤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고, 어떤 일을 하며, 어떻게 연결되는가 물리적 구조 - 각 부분이 어떻게 생겼고,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자책 등 전문화된 장치, PC와 같은 장치들은 모두 다르게 생겼고 사용하는 느낌도 다르지만, 내부 작동 원리는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예시] 자동차의 기능적 구조 자동차에는 연료로 작동되고, 차를 움직이게 하는 엔진이 존재하며, 운전자가 차를 제어할 때 사용하는 핸들 등이 존재 자동차..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