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된 장치가 범용 컴퓨팅 기계가 되려면 산술 연산, 기억-저장, 제어, 운영자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특정 주요 기관을 포함해야 한다.
- 아서 벅스, 허먼 골드스타인, 존 폰 노이만, 1946
컴퓨터의 구조는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로 나눈다.
논리적(기능적) 구조 - 어떤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고, 어떤 일을 하며, 어떻게 연결되는가
물리적 구조 - 각 부분이 어떻게 생겼고,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자책 등 전문화된 장치, PC와 같은 장치들은 모두 다르게 생겼고 사용하는 느낌도 다르지만, 내부 작동 원리는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예시]
자동차의 기능적 구조
자동차에는 연료로 작동되고, 차를 움직이게 하는 엔진이 존재하며, 운전자가 차를 제어할 때 사용하는 핸들 등이 존재
자동차의 물리적 구조
예전과 다른 재료가 사용되고, 더 빠르고 안전해 졌으며, 훨씬 더 안정감 있고 편안하도록 변화
어떤 사물의 기능과 물리적 속성간의 차이, 즉 이것이 무엇을 하는지와 내부적으로 어떻게 만들이저고 얼마나 빠르게 작동하는지의 차이를 인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봐야 한다.
오늘의 1일 1로그
오늘은 깊은 내용은 아니지만 컴퓨터의 논리적/물리적 구조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예시를 보는 시간이었다. 이론적인 내용이 많지는 않았지만 예시와 함께여서 더 이해하기 쉬운 내용이었다.
'독서 기록 > 1일 1로그 100일 완성 IT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일차] 1~5일차 요약 (0) | 2023.09.05 |
|---|---|
| [5일차] 50년 넘게 유지된 무어의 법칙 (0) | 2023.08.31 |
| [4일차] 가로세로 1cm 프로세서 칩 (0) | 2023.08.29 |
| [3일차] HDD와 SSD 차이 (0) | 2023.06.30 |
| [2일차] 프로세서 속도와 심장 박동수 (0) | 2023.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