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기록/정보처리기사

[1. 소프트웨어 설계] 코드 설계

코드 설계란?

: 데이터의 분류나 조합을 쉽게 하기 위하여 사물을 표현하는 코드를 설계하는 기법


코드의 기능

1) 표준화 : 정보들 종류, 모양, 크기 등의 일정한 기준에 따라 통일적으로 표현하는 기능

2) 분류 : 정보들을 동일한 특성을 가진 데이터로 그룹화하여 나누는 기능

3) 식별 : 다른 것들과 구별될 수 있는 기능

4) 배열 : 일련의 순서로 나열할 수 있는 기능

5) 간소화 : 정보의 표현을 간소화해서 나타낼 수 있는 기능

6) 연상 : 정보를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체 뜻과 의미가 코드에 내포되게 하는 기능

7) 암호화 : 정보의 외부 표현을 감추고자 하는 기능

8) 오류 검출 : 정보 입력이나 관리 시 잘못된 정보를 찾아내는 기능


코드 설계 종류

1) 연상 코드(Mnemonic Code) : 코드만 보고 대상을 연상할 수 있도록 명칭 일부를 약호 형태로 넣어 구성된 코드

2) 블록 코드(Block Code) : 공통성이 있는 것 끼리 블록으로 구분하고, 각 블록 내에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코드

3) 순차 코드(Sequence Code) :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일련번호를 부여한 코드

4) 표의 숫자 코드(Significant Digit Code) : 대상 자료의 물리적인 수치인 길이, 넓이, 용량 등을 표시한 코드

5) 십진 코드(Decimal Code) : 10진수 형태로 표현한 코드

6) 그룹 분류식 코드(Group Classification Code) : 대상을 기준에 따라 대/중/소분류로 구분하여 번호를 부여한 코드


코드 설계 절차

1) 코드화 항목 선정

2) 코드화 목적 설정

3) 코드화 대상 확인

4) 코드와 범위 설정

5) 코드 사용 기간 설정

6) 코드화 항목의 특성 분석

7) 코드화 방식 결정

8) 문서화


코드 오류 종류

1) 사본 오류(Transcription Error) : 한 자리를 잘못 표기한 경우로, 필사/오자 오류라고도 칭함

2) 전위 오류(Transposition Error) : 연속된 두 글자가 서로 바뀌어 표기된 경우

3) 생략 오류(Omission Error) : 한 글자를 빼먹고 기술한 경우

4) 첨가 오류(Addition Error) : 한 글자가 추가되어 기술한 경우

5) 이중 전위 오류(Double Transposition Error) : 전위 오류가 중복 발생한 경우 ( = 여러 글자들이 바뀌어 표기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