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마(Schema)
: 데이터베이스 구조(structure)와 제약조건(constaints)에 대한 명세(specification)를 기술한 것
: 데이터 구조를 표현하는 데이터 객체(data object) 즉, 개체(entity), 개체의 특성을 표현한 속성(attribute), 이들 간에 존재하는 관계(relationship)에 대한 정의와 이들이 유지해야 할 제약조건이 포함되는 것
3단계 데이터 베이스 구조(3-level database architecture)
-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1.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 외부 단계(개별적 사용자 단계로 사용자가 생각하는 개인적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스키마
: 개인이나 특정 응용에 한정된 논리적 데이터 구조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에 관련된 개체와의 관계만 포함
*서브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 전체의 한 논리적 부분이 되기 때문에 외부 스키마를 서브 스키마라고도 함
2.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 범기관적 입장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한 것
: coneptaul의 의미는 추상적인 것이 아닌 전체적이고 종합적이란 의미로 모든 응용 시스템들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통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 베이스를 기술한 것
: 전체이기 때문에 개념 스키마는 하나만 존재하며, 개념 스키마로부터 외부 스키마가 생성되고 지원됨
3.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 저장장치(storage)의 입장에서 데이터 베이스 전체가 저장되는 방법을 명세한 것으로 개념 스키마에 대한 저장 구조를 정의한 것
: 실제로 저장될 내부 레코드의 형식, 인덱스의 유무, 저장 데이터 항목의 표현 방법 그리고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 등에 관한 명세를 포함함
'공부 자료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정규화/비정규화 (0) | 2022.10.10 |
---|---|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1) | 2022.10.05 |
[데이터베이스] SQL vs NoSQL (1) | 2022.10.05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ACID (0) | 2022.10.04 |
[데이터베이스] SQL (1)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