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properties / application.yml
차이점 알기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차이점은 없다!
단지 작성하는 방식의 차이만 존재할 뿐이다!
그렇다면 작성하는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간단한 예시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 예시는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세팅!
properties와 yml의 차이는 내부 구조에 있는데
properties의 경우에는 각 줄마다 key=value의 형식으로,
yml은 들여쓰기로 구분되는 계층 구조 및 key=value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application.properties]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org.mariadb.jdbc.Driver
spring.datasource.url=jdbc:mariadb://127.0.0.1:3306/testdb
spring.datasource.username=root
spring.datasource.password=1234
- spring.datasource가 공통으로 사용
[application.yml]
spring:
datasource:
driver-class-name:org.mariadb.jdbc.Driver
url:jdbc:mariadb://127.0.0.1:3306/testdb
username:root
password:admin1234
- spring의 내부에 datasource, datasource 내부에 driver-class-name ~이 존재
- 공통되는 구조를 상위에 한 번만 작성하고, 하위에 다시 공통되는 구조가 작성되는 형식
실제로 예시를 봤을 때에도 크게 달라지는 부분은 없다. 그렇기에 어떤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으며, 자신에게 잘 맞는 형식을 사용하면 된다.
주의해야 할 점은 properties와 yml을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properties의 우선순위가 높아 yml에서 설정한 내용이 덮어씌워질 수 있기 때문에 한개의 형식만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공부 자료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pringframework] Naver API를 이용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 (1) | 2023.11.11 |
|---|---|
| [Spring Boot] SpringBoot에서 JSP 사용하기 (0) | 2023.11.10 |
| [SpringBoot] SpringBoot에서 Mybatis/Database 사용을 위한 설정 (1) | 2023.11.10 |
| [Spring Boot] driver-class-name / url 이해하기 (0) | 2023.11.10 |
| [Spring] Spring Json 파싱해서 값 가져오기 (0)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