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자료/코틀린[Kotlin]

[Atomic 16] 객체는 모든 곳에 존재한다 (feat. 클래스/멤버 기본)

코틀린에서의 객체는 모든 곳에 존재한다?
객체는 프로퍼티(val && var)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함수를 사용해 이러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한다.

 

지금까지의 코틀린 블로깅을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사용했던 모든 것들을 더 깊고 자세하게 배울 수 있는 아톰이 아닐까 싶다.

지금까지는 당연하게 사용했다면,

오늘 학습을 통해서 내가 사용하는 것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지고자 한다.

 


 

[ 용어 정리 ]

 

1) 클래스(class)

: 새로운 데이터 타입의 기초가 되는 프로퍼티와 함수를 정의

: 사용자 정의 타입

: 상태와 행동을 정의

 

2) 멤버(member)

: 클래스에 속한 프로퍼티나 함수

 

3) 멤버 함수(member function)

: 함수 안에 정의

: 특정 클래스에 속한 객체가 있어야 사용될 수 있는 함수

: 멤버 함수 호출을 위해,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지정하고 점(.)과 연산의 이름을 덧붙여 사용 가능

 

4) 객체 생성

: 클래스에 해당되는 val / var 값을 만드는 과정

: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

: Double / Boolean과 같은 내장 타입의 값도 인스턴스에 해당

 

 


 

[ 함수 ]

 

코틀린에서 클래스와 함수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컬렉션 또한 존재하는데

오늘은 책에서 다른 다양한 함수들에 대해서 정리해 볼 예정이다.

( 추후 자주 사용하는 코틀린 함수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할 예정 )

 

 

1) sum() : 객체의 합을 돌려줌

val range = 0..3
print(range.sum()) // 출력 결과 : 6

 

 

2) reversed() : 문자의 순서를 거꾸로 뒤집음

val exam1 = "Kotlin"
print(exam1.reversed()) // 출력 결과 : niltoK

 

 

3) toLowerCase() / toUpperCase() :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 대문자로 변경

val exam1 = "Kotlin"
print(exam1.toLowerCase()) // 출력 결과 : kotlin
print(exam1.toUpperCase()) // 출력 결과 : KOTLIN

 

 

4) to{Number 타입}() : String을 Number 타입으로 변환

val exam2 = "12345"
print(exam2.toInt()) // 출력 결과 : 12345 (숫자)

 

 

5) toString() : 숫자를 String으로 변환

val exam2 = 12345
print(exam2.toString()) // 출력 결과 : 12345 (문자)

 

 


 

[ 오늘의 학습 소감 ]

 

오늘은 객체에 대해 살펴보면서 클래스와 멤버 등 다양한 기본 용어와 함수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는 시간이었다. 오늘 내용들을 바탕으로 이 다음 아톰들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기에 각 용어들에 대해서 꼼꼼히 이해하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다. 또한, 함수를 간단한 예시들을 통해 몇개 알아보았는데, 함수들의 이름을 보아 수많은 함수들이 코틀린 컬렉션 내에 있을 것이 예상되기에 추후에 코틀린에서 자주 사용되는 함수들에 대해서 정리해 보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