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자료/네트워크

[네트워크] URL, DNS

[URL]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웹에 게시된 어떤 자원을 찾기 위한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메커니즘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웹페이지/이미지/동영상 등의 파일이 위치한 정보를 나타냄

 

URL 구성

1) scheme : 통신 방식(프로토콜)을 결정

2) hosts : 웹 서버의 이름이나 도메인

3) url-path : 웹 서버에서 지정한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웹 페이지/이미지/동영상 등이 위치한 경로와 파일명

 

쿼리(query) : 웹 서버에 전달하는 추가 질문

 

Domain name : IP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주소로 한눈에 파악하기 힘든 IP 주소보다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음

 

도메인 종류

gTLD(generic Top Level Domain) : 전 세계에서 등록이 가능한 .com .net .org .edu .gov .int .mil 일곱가지로 시작하여 .biz .name .info 등이 추가되어 옴

ccTLD(country code Top Level Domain) : .kr .us .jp 등 200개 이상으로 각국 네트워크 정보센터에서 위임받아 관리

 

[DNS]

DNS(Domain Name System) :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반대의 경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DB 시스템으로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일 이름을 숫자로 된 식별 번호인 IP로 변환

>> 도메인 이름과 매칭된 IP 주소를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이를 위한 서버가 존재

 

DNS 작동

1) 브라우저는 리졸버에게 IP 주소를 요청

: 리졸버는 요청받은 도메인의 IP 주소를 찾기 위해 여러 네임 버서에 반복 질의를 하는 서버

: 해당 도메인이 있다면 IP 주소를 리턴. 없을 경우 다음 단계

2) DNS 리졸버는 IP 주소를 얻기 위해 네임 서버들에게 재귀적인 쿼리 진행 (루트/탑 레벨/권한 있는 도메인 서버에 차례로 쿼리를 진행해 IP 주소 탐색)

3) 전달받은 주소를 기록하여 브라우저에 전달

 

Zone File : IP 주소를 반환할 수 있는 이유 >> 이를 바탕으로 레코드 리턴

구성 : 네임, 클래스, TTL, 레코드 타입, 레코드 데이터로 구성된 레코드로 구성

 네임 : 도메인 이름

 클래스 : 네트워크 타입

 TTL :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저장가능한 시간

 레코드 타입 : 반환될 데이터의 형식

 레코드 데이터 : 반환되는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