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기록/스프링 부트3 백엔드 개발자 되기[자바편]

[02장.2] 4. 이식 가능한 서비스 추상화(PSA)

이식 가능한 서비스 추상화(PSA; Portable Service Abstraction)이란?

: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술들을 추상화해 개발자가 쉽게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예시)

- 클라이언트의 매핑과 클래스, 메서드의 매핑을 위핸 애너테이션

- 스프링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기술로 JPA, MyBatis, JDBC와 가은 것들이 존재하는데, 어떤 기술을 사용하던 일관된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지원

- WAS를 톰캣이 아닌 언더토우, 네티 같은 곳에서 실행해도 기존 코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kcode-recording.tistory.com/44

 

[Spring Core] PSA (Portable Service Abstraction)

PSA(Portable Service Abstraction)란? : '일관된 서비스 추상화'로 클라이언트가 추상화된 상위 클래스를 일관되게 바라보며 하위 클래스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 : 환경 변화에 상관없이 일관된 방식으로

kcode-recordi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