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부트 스타터란?
: 의존성이 모여있는 그룹
: 필요한 기능을 간편하게 설정 가능
: spring-boot-starter-[작업유형] 명명규칙 존재
스타터
1) spring-boot-starter-web : Spring MVC를 사용해서 RESTful 웹 서비스를 개발할 때 필요한 의존성 모음
2) spring-boot-starter-test :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기 위해 필요한 의존성 모음
3) spring-boot-starter-validation : 유형성 검사를 위해 필요한 의존성 모음
4) spring-boot-starter-actuator : 모니터링을 위해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쉽게 하는 의존성 모음
5) spring-boot-starter-data-jpa : ORM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모음인 JPA를 더 쉽게 사용하기 위한 의존성 모음
[1단계] build.gradle 설정
dependencies{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2단계] web 스타터 확인
: 왼쪽의 Gradle 탭에서 Dependencies - compileCalsspath 에서 웹 스타터 확인 가능
[3단계] test 스타터 확인
: 왼쪽의 Gradle 탭에서 Dependencies - testCompileClasspath에서 테스트 스타터 확인
'학습 기록 > 스프링 부트3 백엔드 개발자 되기[자바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장.3] 4. 스프링 부터 3와 자바 버전 (0) | 2023.08.21 |
---|---|
[02장. 3] 3. 자동구성 (0) | 2023.08.21 |
[02장.3] 1. 스프링 부트3 둘러보기 예제 (0) | 2023.08.21 |
[02장.2] 4. 이식 가능한 서비스 추상화(PSA) (0) | 2023.08.18 |
[02장.2] 3.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OP) (0) | 202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