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기록/정보처리기사

[1. 소프트웨어 설계]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 유형

1. 계층화 패턴(Layered Pattern)

: 시스템을 계층으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패턴

: 각 하위 모듈은 특정 수준의 추상화를 제공, 각 계층은 다음 상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

: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계층 사이에서만 상호작용이 이루어짐

 

2. 클라이언트 - 서버 패턴(Client-Server Pattern)

: 하나의 서버와 다수의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패턴

: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버에 서비스를 요청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 제공

: 서버는 계속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대기

 

3. 파이프-필터 패턴(Pipe-Filter Pattern)

: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단방향 패턴

: 서브 시스템이 입력 데이터를 받아 처리, 결과를 다음 서브 시스템으로 넘겨주는 과정 반복

: 필터 컴포넌트는 재사용성이 좋고, 추가가 쉬워 확장에 용이하지만, 필터 간 데이터 이동에서 데이터 변환 오버헤드 발생

 

4. 브로커 패턴(Broker Pattern)

: 분리된 컴포넌트들로 이루어진 분산 시스템에서 사용

: 컴포넌트들은 원격 서비스 실행을 통해 상호 작용이 가능한 패턴

: 브로커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간 통신 조절 역할

: 서버는 자신의 기능들을 브로커에게 넘겨주고, 클라이언트가 브로커에게 서비스를 요청하면 브로커는 클라이언트를 자신의 레지스트리에 있는 적합한 서비스로 리다이렉션

 

5. 모델-뷰-컨트롤러 패턴(MVC; Model-View-Controller Pattern)

: 애플리케이션을 모델, 뷰, 컨트롤 뷰 3개의 서브 시스템으로 구조화하는 패턴

: 각 부분이 도의 컴포넌트로 분리되어 있어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개발 수행

: 컴포넌트를 분리하며 코드의 효율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여러개의 뷰가 있어야 하는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6. 마스터-슬레이브 패턴(Master-Slave Pattern)

: 연산, 통신, 조정을 책임지는 마스터와 제어되고 동기화되는 대상인 슬레이브로 구성되는 패턴

: 실시간 시스템에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