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ing을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방법?
문자열을 어떻게 프로그램으로 만든다는 걸까?? 오늘은 String을 나타낼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볼 예정이다.
[ 문자열 템플릿 ]
fun main(){
val string = "String"
println("문자열은 $string이다.") // 출력 결과 : 문자열은 String이다.
println("나는 $person이다.") // 출력 결과 : 나는 $person이다.
}
- 문자열 템플릿 : 식별자 앞에 $를 붙여 해당 식별자가 존재할 경우 해당 값을 치환
* 만약 존재하는 값이 없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음
fun main(){
val day = 7
println("${if(day > 15) "한달의 절반 이전" else "한달의 절반 이후"}")
// 출력 결과 : 한달의 절반 이전
}
- ${} 의 중괄호 안에 식을 통해 실행된 값을 String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
[ 문자열 더하기 ]
fun main(){
val a = "오늘은 "
val b = "월요일이다."
println("오늘의 요일 : " + a + b) // 출력 결과 : 오늘의 요일 : 오늘은 월요일이다.
}
- 문자열은 더하기(+)를 통해 연결을 하여 String 값을 넣을 수 있음
[ 특수문자 표기 ]
- 역슬래시(\)를 사용해 이스케이프
- 큰따옴표 3개를 연달아 작성해 String 리터럴
- $ 식별자 혹은 ${식}을 사용
[ 오늘의 학습 소감 ]
오늘은 새롭게 배운 것은 누가 뭐래도 $ / ${식} 이지 않을까 싶다. 기존 자바에는 printf() 혹은 String.format()을 통해서 %를 이용해 데이터 형태를 나타내 문자열을 나타내는 형식을 많이 사용했었는데, 문자열 템플릿을 통해 길어질 수 있는 코드를 좀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 같아서 새로운 학습이었다. 실제로 프로그래밍을 할 때에는 이가 어떻게 활용될지, 많이 활용될지는 아직 미지수이지만, 새롭게 배웠지만 발전된 형식이어서 그런지 오늘의 기억속에 제일 오래 남을 것 같은 학습 내용이었다.
'공부 자료 > 코틀린[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tomic 10] 불리언(Boolean) (0) | 2024.01.09 |
|---|---|
| [Atomic 09] 수 타입 (2) | 2024.01.08 |
| [Atomic 07] if 식 (0) | 2024.01.06 |
| [Atomic 06] 함수 (0) | 2024.01.05 |
| [Atomic 05] 데이터 타입 (0)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