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4) 썸네일형 리스트형 [01장.5] 백엔드 개발자의 업무 개발자 업무 순서 1) 과제 할당 2) 과제 분석 3) 개발 4) 테스트(리뷰) 5) QA 및 버그 수정 6) 배포 7) 유지보수 1) 과제 할당 : 사업부, 마케팅, 개발팀 등에서 개발 과제를 할당하며, 개발자는 그 과제를 분석하기 시작함 2) 과제 분석 : 주어진 과제가 무엇을 의미하고,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해당 조건들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지를 결정 : 제공할 성능과 사용할 기술을 검토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해결 방법도 분석 및 정리 * 요즘의 서비스는 복잡하기 때문에 작은 기능에서의 문제가 서비스 전체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에 중요한 과정 중 하나 3) 개발 : 기능을 개발하고 버그를 수정함 : 개발 코드는 깃허브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 동료의 리뷰를 받고 리뷰에 대한.. [01장.4]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library) :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기능인 클래스, 함수 등을 모아놓은 코드의 모음으로 개발자가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코드의 모음을 가져다 쓸 수 있는 도구의 역할 : 도서관이라는 의미 보다는 책들의 모음이라고 이해 : 라이브러리는 독립적으로 라이브러리끼리 영향을 주지 않음 프레임워크(framework) : 소프트웨어 개발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 정해진 틀에서 개발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개발 효율은 매우 높다는 장점 존재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차이 : 프레임워크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의 전체적인 구조를 잡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며, 라이브러리는 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 [01장.3] 아이피와 포트 아이피(IP) : 인터넷에서 컴퓨터 또는 기기들이 서로를 식별하고 통신하기 위한 주소로 아이피를 알면 서버를 찾을 수 있음 : 단, 서버를 찾더라도 아이피만 가지고 서버를 이용할 수는 없음 포트(Port) : 서버에서 운용되고 있는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번호로 서버를 찾을 수 있는 번호 ex1) 아이피는 백화점, 포트는 백화점 내에 입점해 있는 매장을 의미 ex2)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주소(https://www.naver.com)에는 아이피와 포트가 들어 있음 (https://는 서버의 443번 포트를 사용하기 위함, www.naver.com은 은 아이피를 쉽게 알아보기 위해 이름을 붙인 것) [01장.2]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Database) : 여러 사람이 데이터를 한 군데에 모아놓고 여러 사람이 사용할 목적으로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소 * 보통 MySQL, 오라클, 프스트그레SQL을 DB(데이터베이스)라고 하지DBSM로서 DB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의미함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lational Database; RDB) : 데이터를 행(Row)과 열(Column)로 이루어진 테이블로 관리 : 기본키(Primary Key; PK)를 사용해 각 행을 식별 : 각 테이블 간의 관계(Relation)를 지을 수 있음 : 데이터의 저장, 질의, 수정, 삭제가 용이하지만 성능을 올리기 쉽지 않음 * RDB로 유명한 DB로는 오라클, MySQL, SQL 서버, 포스트그레SQL이 존재 SQL(Struc.. [01장.1] 서버와 클라이언트 보통 인터넷 서비스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관계를 맺는데 이는 위와같은 그림으로 설명할 수 있음 클라이언트(Client) : 서버로 요청을 프로그램을 모두 일컬어 말함 ex) 웹 브라우저에서 검색하기 위해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해당 정보를 요청하는 행위를 '서버에 요청한다'라고 말하며, 서버는 이 요청에 대해 응답 서버(Serv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주체 [01장] 자바 백엔드 개발자가 알아두면 좋은 지식 순서 1.1 서버와 클라이언트 2023.06.29 - [학습 기록/스프링 부트3 백엔드 개발자 되기[자바편]] - [01장.1] 서버와 클라이언트 1.2 데이터베이스 2023.06.29 - [학습 기록/스프링 부트3 백엔드 개발자 되기[자바편]] - [01장.2] 데이터베이스 1.3 아이피와 포트 2023.06.29 - [학습 기록/스프링 부트3 백엔드 개발자 되기[자바편]] - [01장.3] 아이피와 포트 1.4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2023.06.29 - [학습 기록/스프링 부트3 백엔드 개발자 되기[자바편]] - [01장.4]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1.5 백엔드 개발자의 업무 2023.06.29 - [학습 기록/스프링 부트3 백엔드 개발자 되기[자바편]] - [01장.5] 백엔드 개발자의 업무 .. [기타] Build system에서 Gradle(그레이들)과 Maven(메이븐)의 차이 Build System에서 사용하는 Gradle, Maven은? : 소스 코드를 이용해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과정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으로 의존성 내려받기, 코드 패키징, 컴파일, 테스트 실행 등이 포함되어 있다. Gradle 특징 1) Maven에 비해 가독성이 좋고 설정이 간단 2) 자바, 코틀린, 그루비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며, 원하는 대로 빌드 스크립트 작성이 가능 3) 빌드, 테스트 속도가 Maven에 비해 더 빠름 * 예전에는 Maven을 많이 사용했으나, 현재는 Gradle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 [기타] 기초 및 응용 필수 단축기 윈도우 MacOS 복사하기 Ctrl + C Cmd + C 잘라내기 Ctrl + X Cmd + X 붙여넣기 Ctrl + V Cmd + V 주석 토글 Ctrl + / Cmd + / 전체 선택 Ctrl + A Cmd + A 현재 파일에서 찾기 Ctrl + F Cmd + F 전체 파일에서 찾기 Ctrl + Shift + F Cmd + Shift + F 현재 파일에서 바꾸기 Ctrl + R Cmd + R 전체 파일에서 바꾸기 Ctrl + Shift + R Cmd + Shift + R 줄 복사 Ctrl + D Cmd + D 실행 Shift + F10 ^ + R 디버그 모드로 실행 Shift + F9 ^ + D 리팩터링 Shift + Ctrl + Alt + T Cmd + Shift + T 테스트 생성 이동 Shift..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