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4) 썸네일형 리스트형 [데이터베이스] Database 기본 데이터베이스(Database) : 구조화된 정보 또는 데이터의 조직화된 모음으로서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전자적으로 저장되며,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인 DBMS에 의해 제어됨 : 데이터 작성 및 쿼리에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사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 데이터베이스와 최종 사용자 또는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해 사용자가 정보의 구성 및 최적화 방법을 검색/업데이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함. : 데이터베이스의 감독 및 제어가 용이해 성능 모니터링/튜닝/백업/복구 등과 같은 관리 작업이 가능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데이터를 쿼리, 조작 및 정의하고 엑세스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거의 모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열.. [기타] Postman(HTTP API 테스트 도구) Postman site Postman API Platform | Sign Up for Free Postman is an API platform for building and using APIs. Postman simplifies each step of the API lifecycle and streamlines collaboration so you can create better APIs—faster. www.postman.com 1. 새로운 탭 오픈 2. HTTP 메서드 선택 (POST, GET, DELETE 등 메서드 중 하나 선택) 3. URL 입력창 : URL과 Endpoint를 입력 4. HTTP요청 버튼 (Send 버튼 입력) 5. HTTP 요청 시 설정 가능한 각종 옵션 선택 (필요시 선택).. [네트워크] Open API / API Key [Open API] :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API : 무제한으로 이용 가능한 것이 아닌 기관이나 API마다 정해진 이용 수칙이 있고, 제한사항이 존재할 수 있음 Ex. Open Weather Map 이라는 사이트에서 날씨 API를 제공함 - 제한적이나마 무료로 날씨 API를 사용할 수 있음 (프리 플랜에서는 기본적으로 분당 60번, 달마다 1백번 호출이 가능) - 데이터를 JSON 형태로 응답함 [API Key] : API를 이용하기 위한 열쇠 : 로그인된 이용자에게만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API Key의 형태로 제공하고 데이터를 요청할 때 API key를 같이 전달해야만 응답을 받을 수 있음 [네트워크] REST API [REST API란?] REST (Representational StateTransfer) :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으로, HTTP(웹)의 장점(무상태성; 서버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음)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를 의미 : 리소스 식별이 가장 중요한 핵심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운영체제와 운영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의미 Rest API : 웹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자원(resource)을 HTTP URI로 표현하고,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요청과 응답을 정의하는 방식 Ex) 식당의 손님으로서 주문을 위해 메뉴판을 보았을 때 메뉴가 정돈이 되어있지 않거나 알아볼 수 없다면? 즉, 서버.. [JAVA] 필기 드라이브 링크 1. 변수,타입,문자열,연산자,콘솔입출력 https://drive.google.com/file/d/1jZpDk3s5Us8_gueFFM4U_eUOvXxcl8GR/view?usp=sharing 8. [Jaca] 기초(변수,타입,문자열,연산자,콘솔입출력).pdf drive.google.com 2. 조건문/반복문 https://drive.google.com/file/d/1Bdr8Apis2dygj_4wYt6vkkTWm_fVYcEz/view?usp=sharing 9.[JAVA] 기초(조건-반복문).pdf drive.google.com 3. 배열 https://drive.google.com/file/d/1Nr8iboV4FuevQRuSpn9LzLhF5RXQ4S4H/view?usp=sharing 10. [Java] 기초.. [자료구조/알고리즘] 완전 탐색 / 이진 탐색 알고리즘 [완전 탐색 알고리즘] Brute-Force : 시행착오 방법론으로 모든 값을 대입하는 방법 완전 탐색 알고리즘(Brute-Froce Algorithm) : 무차별 대입 방법으로, 모든 가능성을 시도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공간/시간 복잡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Greey Algorithm이 아님 [사용 경우] (문제의 더 적절한 해결법을 찾기 전 사용함) 1) 프로세스 속도를 높이는데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알고리즘이 없는 경우 2) 문제를 해겨하는 여러 솔루션이 있고 각 솔루션을 확인해야 할 경우 [사용 예시] 1) 순차 검색 알고리즘(Sequential Search) Ex. 배열 내 특정값 존재 여부 확인(처음부터 차례대로 검색) 2) 문열 매칭 알고리즘(Brute-Force Matching).. [자료구조/알고리즘] 탐욕 알고리즘 Greedy [탐욕 알고리즘이란?] Greedy : 탐욕스러운, 욕심 많은 Greedy Algorithm : 매 순간 최적이라고 생각하는 해답(locally optimal solution)을 찾으며, 이를 토대로 최종 문제의 해답(globally optimal solution)에 도달하는 문제 해결 방식 [해결 방법] 1. 선택 절차(Selection Procedure) : 현재 상태에서의 최적의 해답을 선택 2. 적절성 검사(Feasibility Check) : 선택된 해가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사 3. 해답 검사(Solution Check) : 원래의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검사하고, 해결되지 않았다면 선택 절차로 돌아가 과정을 반복함 [특정한 상황] - 최적의 해를 보장받기 위한 조건 1. 탐욕적 선택 속성(.. [자료구조/알고리즘] 시간복잡도 복잡도(complexity) : 알고리즘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기준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 : 실행에 필요한 시간을 평가한 것으로, Big-O 표기법을 이용 * 공간 복잡도 고려는 최근들어 중요성이 줄어듦 Big-O 표기법 : 입력값의 변화에 따라 연산을 실행할 때, 연산 횟수에 비해 시간이 얼만큼 걸리는가를 고려함 1) Big-O : 최악의 경우를 고려 >> 항상 최악의 경우를 대비 2) Big-Ω : 최선의 경우를 고려 3) Big-θ : 중간의 경우를 고려 1. O(1) (constant complexity) : 입력값이 증가하더라도 시간이 늘어나지 않음 : 가장 빠른 시간 복잡도 Ex. 배열 중 인덱스 하나 리턴 (배열이 증가하더라도 리턴값이 1개이기에 복잡도가 늘어나지.. 이전 1 ··· 46 47 48 49 50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