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자료/IT관련 이슈 (14)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이버 정전 대란 - SW 패치가 부른 나비효과 1. IT 역사상 역대급, 사이버 정전 사태: 한국 시각으로 19일 금요일 오휴 4시: 호주 공항 이륙 중단, 마이크로소프트 애저가 먹통이라는 소식: 호주 뿐 아니라 전 세계 공항이 마비되고 있다는 소식이 동시 다발적으로 들렸으며, 사태는 급격하게 확산[ 주요 피해 ]- 항공 교통 : 독일 베를린 공항, 영국 에든버러 공항의 체크인 지연, 호주의 항공평 결항, 네덜란드 스키폴 공항과 스페인, 포르투갈 등 공항 운영 중단 등- 육상 교통 : 미국 워싱턴대도시교통권은 지하철 운행을 연기, 보스턴 열차는 정상 운행하지만 도착 정보 확인 불가, 폴란드는 발틱 허브 운영 일시 중단, 영국은 카드 결제 불가- 주식 경제 : 영국 런던증권거래소 및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의 서비스 장애- 행정 의료 : 각종 의료 기록 .. 우리가 잘 모르던 애플의 이야기 오해1. 애플의 첫 CEO는 스티브잡스였다.: 스티브 잡스는 애플의 창업자였지 첫 CEO는 아니었음: 애플2의 기술 완성도가 높고 가격이 좋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팔린 컴퓨터가 되었으며, 이 때의 첫 CEO는 스티브 잡스가 아닌 업계에서 경험이 많았던 마이클 스콧(사실상 스티브잡스가 CEO 역할을 함) 오해2. 애플은 항상 최고의 기업이었다.: IBM 원조 빅테크가 가장 융성했던 시기 애플과 IBM 시총 차이는 많게는 80배까지도 났음: PC 시장의 가능성이 엄청났을 때 윈도우를 만든 마이크로소프트와 윈도우 PC에 들어가는 반도체를 만든 인텔이 개화했음: 이 때 1996년에는 파산 일보 직전: 애플의 위상이 급변한 것은 당연히 아이폰의 등장부터임 오해3. 애플은 한국 기업들의 적이다.: 애플이 한국 사.. 불가능을 바꾸는 힘 : 몰입! 1. 준비에도 몰입이 있다.: 몰입 방법을 널리 전파하는 에반젤리스트 '스티븐 코틀러: 몰입이란, 내가 누구인지도 모르게 뭔가에 빠져들어 있는 상태-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건강한 게 좋음: 하루 7~8시간 정도 충분한 수면, 가정과 직장에서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고 받을 것- 목표가 분명해야 함: 최선을 다하면 성취할 수 있는 불가능에 가까운 어려운 목표를 분명하게 설정두뇌가 몰입에 들어가려면 최소한 90분 정도가 필요그 기간동안 다른 방해요소들을 제거정리- 너저분해진 책상을 말끔하게 치우거나, 커피 한 잔을 옆에 가져다 놓는다거나 내 마음이 몰입할 수 있도록 힘껏 마음 을 잡아가는 과정이 필요 2. 해커톤, 메타를 키우다. (페이스북을 키운 핵어먼스 해커톤): 페이스북에서 해결해야 할 까다로운 프로젝트가.. 일론 머스크가 테슬라 창업 안했다? (테슬라의 역사 5분 컷) 1.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 창업자 맞다? 아니다?: 테슬라의 최초 창업자는 일론 머스크가 아니다.: 전기차의 실패로 인해 전기차를 살리기 위해 일론 머스크가 회사에 투자 및 경영에 관여하게 되면서 회사에서는 공동 창업자로 명시했지만, 대부분의 언론은 공동 창업자 인 것을 인정하지 않음: 테슬라를 키운건 벤츠와 도요타이며, 모델3 양산의 성공으로 주가가 폭등했고, 글로 벌 확장에 성공하게 됨 2. 테슬라는 자율주행차로 무엇을 할까?: 테슬라 하면 떠오르는 것 - 자율주행과 태양광 패널을 사용한 충전: 자율주행이 가능해진 차량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무인 택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 을 이용해 전체 차량 대수를 줄일 수 있는 묘수로 보게 됨: 8월 8일 로보택시를 공개할 예정 3. 모닝 브리핑: 메타가 멀티.. [ 미라클레터 ] IT와 관련된 소식지 구독 '미라클레터' 미라클레터(무료)를 구독한지 약 2주차!앞으로 이 카테고리에는 미라클레터에서 읽은 것에 대한 요약을 올리고자 한다.정보 전달 및 공유가 목표가 아닌 내가 알게된 것에 대해 더 잘 기억하기 위해 혹은 되새김을 위해 작성하는 것이므로내용이 부족할 수 있지만, 나를 위해 작성하는 것이니 기록에 의의를 둘 예정이다. [카카오 화재] 이중화, DR 이중화 : 시스템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장비를 다중화 시키는 방법 : 가용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고가용성을 뜻하는 HA(Hight Avaliability)라는 용어와 혼재해 사용함 즉, 하나의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장비에서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 (1개의 다른 서버가 다운되더라도 다른 1개의 서버로 커버하는 것) >>이중화의 경우 동일한 서버가 1개 더 존재하며 비용이 그만큼 많이 들 수 있음. DR(Disaster Recovery) : 재해 복구라고 칭함 : 재해로부터 데이터센터를 보호하는 1차 보호 전략으로서, 재해가 발생할 경우 재해 복구 계획(disaster recovery plan, DRP)를 통해 유지 >> 재해로 인해 데이터센터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데이터센터에서..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