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자료/코틀린[Kotlin]

[Atomic 03] Hello, World!

코틀린에서 Hello, World! 출력은 어떻게?

 

 

대부분의 언어의 맨 처음에 쓰이는 Hello, World!는 해당 언어를 이용해 어떻게 출력을 하는지를 알려주기 위해 많이 쓰이는데,

오늘은 코틀린으로 Hello, World! 를 어떻게 출력하는지 알아볼 예정이다.

 

 


 

 

[HelloWorld/EmptyProgram.kt]

fun main(){ // fun 함수명(매개변수)
	// 여기에 프로그램 코드 입력
}

 

코틀린에서도 기본적으로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 '함수'가 쓰이는데, fuction의 약자로 fun을 사용하고 그 뒤에 함수의 이름(매개변수)의 형태로 쓰인다.

 


 

[ 함수 ]

- function의 줄임으로 fun으로 작성

- 함수 이름을 사용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의 모음

- 함수 이름 뒤 중괄호를 사용해 함수임을 명시

 


 

 

그렇다면, 출력은 어떻게 할까?

출력을 하는 방식은 2가지가 있다.

 

1) print() : 줄바꿈 포함x

2) println() : 줄바꿈 포함o

* 중괄호 안의 매개변수는 String 타입의 문자열 하나만 받으며, 큰따옴표로 문자들을 감싸 문자열로 만듦

 


 

 

출력까지 알았다면, 우리는 코틀린 언어를 사용해 Hello, World!를 출력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아래처럼!

 

fun main(){
	println("Hello, World!")
}

 

 

* 코틀린 언어에서는 세미콜론(;)을 필수로 하지 않으며, 여러 코드를 한 줄에 붙여 사용할 때 구분의 용도로도 사용

 

 


 

[오늘의 학습 소감]

 

오늘은 언어를 찍먹해 본 사람이라면 그 누구라도 배웠을 것이라 예상하는 'Hello, World!'를 출력하는 방법을 이용해 코틀린 언어를 살펴보았다. 아직은 초반부이기 때문에 어려운 내용은 없었다.

오늘은 기억에 남는 점을 쓰자면 코틀린에서 fun을 쓴다는 점,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JS 언어가 많이 생각나는 학습이었다. (분명 코틀린은 자바 언어의 발전을 위해 만들어진 언어였었는데, Java 보다는 JS가 떠오르는 학습이었다.)

 

 

'공부 자료 > 코틀린[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omic 07] if 식  (0) 2024.01.06
[Atomic 06] 함수  (0) 2024.01.05
[Atomic 05] 데이터 타입  (0) 2024.01.04
[Atomic 04] var & val  (0) 2024.01.03
[Atomic 01~02] 왜 코틀린인가?  (1) 2024.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