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자료/코틀린[Kotlin]

[Atomic 05] 데이터 타입

코틀린에도... 데이터 타입은 있었다.

 

오늘의 학습은 지난 학습과 관련이 있는 내용이다. 코틀린에서 var / val로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했었는데, 이 때 데이터 타입을 따로 지정하지 않았었다. 하지만 이는 데이터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닌 데이터 타입이 존재하지만, 코틀린에서의 이 역할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어떤것 때문이었는지 오늘의 학습을 통해 알아볼 예정이다.

 

 


 

 

[ 데이터 타입 ]

 

1) Int : 정수(Integer), 소수점 이하 부분이 없음

2) Double : 소수가 있는 수

3) Boolean : true / false의 값 저장

4) String : 문자로 이뤄진 시퀀스로 큰따옴표로 둘러싸인 값

5) Char : 한 문자

6) 로(raw) String : 여러 줄에 걸친 문자열 || 특수 문자가 들어간 문자열로 삼중 따옴표로 둘러 싸인 값

 

val example = 3;
val example = 3.1;
val example = true;
val example = "kotlin";
val example = "a";

val example:Int = 3; // 1)
val example:Double = 3.1; // 2)
val example:Boolean = true; // 3)
val example:String = "kotlin"; // 4)
val example:Char ='a'; // 5)
val example:String = """kotlin!!; // 6)

 

 


 

그렇다면 이전에는 어떻게 코틀린에서는 데이터 타입을 알았던걸까?

 

이는 보통 코틀린이 데이터 타입을 추론해 주기 때문이다.

-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하면, 코틀린은 각 값을 어떻게 쓰는지 살펴보고 각 변수의 타입을 추론 

 

 


 

[ 오늘의 학습 소감 ]

 

오늘은 데이터 타입에 대해 학습을 하였다. 지난번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할 때 자바와 달리 데이터 타입을 선언해 주지 않고 쓰는 것을 보고 데이터 타입이 코틀린에서는 없다! 라고 생각했었는데, 한국말은 끝까지, 학습도 끝까지 해봐야 안다고, 데이터 타입이 존재하지만 이를 따로 선언하지 않아도 코틀린에서 데이터 타입을 추론해주기 때문에 쓰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또한, 자바와 달리 줄바꿈이 포함되거나, 특수문자가 있는 문자열을 로 String으로서 큰따옴표 3개로 나타낸다는 점을 새롭게 알게된 하루였다.

 

 

'공부 자료 > 코틀린[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omic 07] if 식  (0) 2024.01.06
[Atomic 06] 함수  (0) 2024.01.05
[Atomic 04] var & val  (0) 2024.01.03
[Atomic 03] Hello, World!  (3) 2024.01.02
[Atomic 01~02] 왜 코틀린인가?  (1) 2024.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