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4)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Boot] driver-class-name / url 이해하기 Spring Boot에서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위해 사용하는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 spring.datasource.url 이해하기 SpringBoot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데, 바인딩을 하지 못한다는 에러가 발생하면서 이것저것 만져보다가 생긴 궁금증!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해 application.yml 혹은 application.properties에서 spring.datasource와 관련된 설정을 진행해 주는데, driver-class-name과 url을 모두 써도 되지만, driver-class-name을 작성하지 않아도 실행되는 상황을 발견했다. 이에 두개의 차이가 궁금하여 gpt에게 물어봤을 때 돌아오는 답변은 아래와 같았다. 결.. [Spring] Spring Json 파싱해서 값 가져오기 JSON에서 원하는 값을 가져오기 위한 parsing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아올 때 JSON 형태를 많이 이용하는데, JSON에서 자신이 원하는 값을 가져오기 위한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JSON의 형태는 아래와 Map 형태와 유사하게 생겼으며, 다양한 데이터 타입도 존재하는데 간단하게 정리한 것이 있으니, 아래 블로깅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https://kcode-recording.tistory.com/73 [JSON] JSON이란? [JSON]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데, 어떤 언어든지 데이터 구조와 실제 데이터를 다른 어어 및 플랫폼에서 해석 가능한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kcode-recording.tisto.. [SpringFramework] Kakao API를 이용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 SpringFramework에서 Kakao API를 이용한 로그인 및 회원 정보 불러오기 웹사이트를 제작하다 보면 홈페이지 자체 회원가입도 존재하지만, 요즘에는 소셜을 이용한 로그인도 필수일 정도로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구현되어 있는 기능이다. 오늘은 이 중 카카오 API를 이용한 로그인 및 회원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다. * API안의 내용이 많겠지만, 예시의 편의를 위해 이름(닉네임)과 이메일만 가져올 예정이다. 다른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방법은 이름과 이메일을 가져오는 방식과 동일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실습해 보기를 바란다! [준비하기] 먼저, API를 사용하기 이전 카카오 개발자센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야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시도가 가능하다. 1. 카카오 개발자.. [JAVA] 빠른 입출력을 위한 BufferedReader(StringTokenizer) & BufferedWriter 빠른 입력을 위한 BufferReader & 빠른 출력을 위한 BufferedWrier 우리는 지금까지 자바를 배우면서 System.out.println()을 통한 출력, Scaner를 통한 입력을 많이 이용하였는데, 이는 입력 키를 누르는 즉시 프로그램에 연결되는 형태이다. 하지만 코딩테스트 연습을 하거나 사용에 있어서 가끔 입출력 시간이 오래 걸려 개선해야 한다는 에러를 많이 볼 때가 있을텐데, 왜 입력키를 누르는 즉시 프로그램에 연결되는데 오래걸리는걸까? 이는 하드디스크의 속도가 느리고, 외부 장치와 데이터의 입출력도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반면 버퍼의 경우에는 버퍼가 가득 차거나, 개행 문자가 나타날 경우 해당 버퍼에 있는 내용을 한 번에 전달하는데, 한 번에 묶어서 보내는 것이 .. [JAVA] URL을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URLConnection/HttpURLConnection JAVA 애플리케이션과 URL 을 연결해주는 클래스 URLConnection과 HttpURLConnection URLConnection/HttpURLConnection 이란? URLConnection은 Java 애플리케이션과 URL을 연결해주는 수퍼 클래스로, 일반 URL에 대한 API를 제공하고 하위 클래스인 HttpURLConnection은 Http에 대한 기능을 추가 지원 두 클래스는 모두 추상 클래스로 인스턴스를 직접 만들 수 없는 대신 URL 자체에서 연결을 열어서 URLConnection의 인스턴스를 얻음 URLConnection 클래스는 1) 사용자 인증이나 보안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웹서버에 접속해 파일 등을 다운로드 할 때 많이 사용하며 2) 리소스에 연결하기 전에 구성되어야 하고 3) .. [JAVA] URLEncoding이란? URL로 변환하기 위한 URLEncoder 사용 ASCII로 표현되는 URL 만들기 HTTP URL을 하나 살펴보고자 한다. http://localhost:8080/detail?page=1 http: (프로토콜 사용) // (도메인 주소) :8080 (포트번호) / (루트) ? (호출한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그런데 URL에 한글이 들어가거나 다른 다양한 문자가 들어간 것을 본 적이 있나?를 생각하면 없다. 라는 결론이 나오게된다. 이는 URL의 경우 ASCII 코드로만 표현되기 때문에 한글 및 다양한 문자기호들을 사용할 수 없고, 해당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정해진 인코딩 규약 RFC3986에 따라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변한 규약은 아래 링크에서 참고하기 https://www.w3schools.com/tags/ref_urlencode.asp HTM.. [JAVA] StringBuilder란? 문자열을 연결할 수 있는 StringBuilder 사용하기 우리는 문자열을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알고 있을텐데, 그 중 가장 쉽게 떠올리는 것이 바로 더하기(+) 연산일 것이다. 하지만, 문자열이 매우 많고, 이를 다 이어붙인다고 한다면? 문자열을 + 연산자를 사용해 연결한다는 것은 연결할 때마다 새로운 문자열 개체가 생성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즉, String 객체는 한 번 생성되면 변경이 불가능하며, 하나의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과 연결하면 새로운 문자열이 생겨나면서, 기존 문자열은 가비지 컬렉터로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객체를 생성하는 작업은 다른 작업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 연산자를 이용해 문자열을 연결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인 코드가 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밖에 없다. 이를.. [Spring] @Autowired를 사용한 DI 다양한 의존 관계 주입 방법 @AutoWired를 이용한 의존성 주입 * 아래 4가지 방식 모두 의존 관계로 주입하려는 클래스가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어있는 Bean이어야 하며 Spring Bean이 아닌 클래스는 @Autowired가 불가능함 @Autowired란? : 필요한 의존 객체의 타입에 해당하는 빈을 찾아 주입하며, 객체 타입에는 생성자/setter/필드/일반 메서드가 존재 : @Autowired는 기본값이 true 이기 때문에 의존성 주입 대상을 찾지 못하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음 [생성자 주입] 생성자 주입) : 생성자를 통해 의존 관계를 주입 받음 : @Autowired를 생성자에 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Component로 등록된 빈에서 생성자에 필요한 빈을 주입함 : 아래에 특징들로 인해 filed 나열 ..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