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4) 썸네일형 리스트형 [Atomic 06] 함수 작은 프로그램의 일종인, 함수 맨 처음 Hello, World를 배울때 나왔던 main() 함수를 기억하는데, 이제는 본격적인 함수 fun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이다. [ 함수 ] fun 함수명(p1:타입1, p2:타입2, p3:타입3 ...): 반환타입 { // 코드 return result } // 한 줄로 나타낼 수 있는 코드라면? fun 함수명(p1:타입1, p2:타입2, p3:타입3 ...): 반환타입 = 코드 - 함수에 전달할 파라미터를 작성 - 함수 시그니처 : 함수명 / 파라미터 / 반환타입을 합쳐 이르는 말 - 파라미터의 개수와 각각의 타입만 시그니처를 구분할 때 쓰이며, 타입 순서는 고려되지 않음 ex) fun cal(x:Int, y:Int):Int{ println("계산 시작") ret.. [Atomic 05] 데이터 타입 코틀린에도... 데이터 타입은 있었다. 오늘의 학습은 지난 학습과 관련이 있는 내용이다. 코틀린에서 var / val로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했었는데, 이 때 데이터 타입을 따로 지정하지 않았었다. 하지만 이는 데이터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닌 데이터 타입이 존재하지만, 코틀린에서의 이 역할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어떤것 때문이었는지 오늘의 학습을 통해 알아볼 예정이다. [ 데이터 타입 ] 1) Int : 정수(Integer), 소수점 이하 부분이 없음 2) Double : 소수가 있는 수 3) Boolean : true / false의 값 저장 4) String : 문자로 이뤄진 시퀀스로 큰따옴표로 둘러싸인 값 5) Char : 한 문자 6) 로(raw) String : 여러 줄에 걸친 문자.. [Atomic 04] var & val 코틀린에서 식별자는 어떻게?? 출력을 배웠다면, 그 다음은? 당연히 어떻게 식별자를 사용하는지 일 것이다! (언어를 하나라도 배웠다면 당연한 수순!) 자바에서는 정수 / 문자열 / 상수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에 따라 식별자를 정의하는 방법이 달랐는데, 이가 코틀린에서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 식별사 ] 1) var : 변할 수 있는 수 2) val : 변할 수 없는 수 *아래에서 더 정확히 설명 [ 가변의 수 var ] var 식별자 = 초기화 // ex) var whole = "kotlin"; whole = "kotlin is good"; // 변경 가능 - 변할 수 있는 수인 variable의 약자 - 한 번 초기화 된 다음 변경이 가능 - 가변 [ 불변의 수 val ] val 식별자 = 초기화 /.. [Atomic 03] Hello, World! 코틀린에서 Hello, World! 출력은 어떻게? 대부분의 언어의 맨 처음에 쓰이는 Hello, World!는 해당 언어를 이용해 어떻게 출력을 하는지를 알려주기 위해 많이 쓰이는데, 오늘은 코틀린으로 Hello, World! 를 어떻게 출력하는지 알아볼 예정이다. [HelloWorld/EmptyProgram.kt] fun main(){ // fun 함수명(매개변수) // 여기에 프로그램 코드 입력 } 코틀린에서도 기본적으로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 '함수'가 쓰이는데, fuction의 약자로 fun을 사용하고 그 뒤에 함수의 이름(매개변수)의 형태로 쓰인다. [ 함수 ] - function의 줄임으로 fun으로 작성 - 함수 이름을 사용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의 모음 - 함수 이름 뒤 중괄호를 사용해 .. [Atomic 01~02] 왜 코틀린인가? 나는 지금까지 많은 언어들을 만나오지는 않았다. 하지만 코프링 이라는 단어가 생겨난 지금 코틀린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ATOMIC KOTLIN'이라는 책으로 하루 최소 1 아톰씩 공부해보고자 한다. * 1 아톰 : 물질의 최소 단위인 아톰을 뜻하는 것으로, 각 장을 더 작은 단위로 나눌 수 없도록 작성한 책으로 각 장을 의미 코틀린을 왜 써야할까? [ 그 전에 알아두면 좋은 기초 지식 ] - 코틀린은 해석되지 않고 컴파일 되는 언어로 바이트 코드로 번역됨 * 바이트 코드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될 수 있는 중간 수준의 형태로 JVM에서 실행 위의 한 줄로 연결지어 설명이 가능함을 알 것이다. - 바이트 코드로서 번역되는 언어로서 JVM에서 실행되어 가상 머신만 있다면 바이트 코드로 어느 기계에서나 실행이 .. [Spring+JPA] EAGER, LAZY 무슨 차이야? 매핑 시 사용하는 EAGER과 LAZY. 둘이 무슨 차인데? 지난 블로깅에서 1:1, 1:N, N:1 (단방향/양방향) 매핑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https://kcode-recording.tistory.com/345 [JPA] N:1, 1:N, 1:1, M:N 연관관계 매핑 (단방향/양방향 연관관계) 객체와 테이블 매핑 이해하기 JPA에서 테이블을 한 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필요한 것은 연관관계 매핑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객체간 상태를 쉽게 참조하고 호출해 상호작용이 kcode-recording.tistory.com 추가적으로 매핑 시 사용하는 fetchType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자 하는데, fetchType이 무엇이고, 어떤것이 있으며, 어떻게 사용하는지 차근히 알아보자. Fetc.. [JPA] N:1, 1:N, 1:1, M:N 연관관계 매핑 (단방향/양방향 연관관계) 객체와 테이블 매핑 이해하기 JPA에서 테이블을 한 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필요한 것은 연관관계 매핑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객체간 상태를 쉽게 참조하고 호출해 상호작용이 가능하지만, RDBS에서는 외래 키와 조인을 사용해 관계를 표현한다. 따라서 이 두개의 간극이 존재하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바로 JPA이며, 연관관계 매핑인 것이다. 객체와 DB 간의 매핑을 통해 둘의 간격을 줄일 수 있으며, 객체 지향 관점에서 연관관계를 설정하고, DB 스키마에 맞게 매핑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연관관계 매핑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관관계를 매핑할 때에 생각해야 3가지 있는데, 아래와 같다. 1. 방향 : 단방향, 양방향 DB 테이블은 외래 키를 통해 양방향.. [Spring + JPA] JPA Entity 매핑 (feat. Entity 만들기) JPA를 이용한 Entity 만들기 Spring JPA에서는 구현체인 Hibernate가 옵션 설정을 통해 Entity 코드를 스캔해 스키마와 테이블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데, 스키마와 테이블이 생성될 수 있도록 Entity를 만들어보고자 한다. * JPA와 Hibernate, Entity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들은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면 된다. https://kcode-recording.tistory.com/245 [05장.3] 1. JPA와 Hibernate, Entity JPA(Java Persistance API)란? : 자바에서 사용하는 표준 ORM : 자바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방식을 정의한 인터페이스 JPA는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을 위해 ORM 프레임워크가 필 kcode-..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