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4)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 기업이 생태계를 만들 수 있을까? 생태계(Ecosystem) 단어가 가장 많이 쓰이는 업계는 바로 테크업계일 것이다.이 생태계를 가장 잘 운영하는 회사들이 바로 미국의 빅테크 업체들이다.이 생태계는 경쟁사들을 차단하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 되기도 하는데 오늘의 레터에서는 실리콘밸리에서 지켜본 개발자 행사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오늘의 Index- 행사의 나라 미국- 3대 개발자 행사- 삼성전자 SDC2024- TSMC OIP 생태계 행사의 나라 미국, 매주 Big 테크 행사가 열린다미국에서는 테그산업이 크다보니 관련 기업이 여는 자체 행사와 협회가 여는 행사도 많아 매 주 한 번은 테크 행사가 열린다고 한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열리는 지역은 테크기업의 본사가 있고 스타트업이 많이 있는 실리콘밸리와 샌프란시스코이다.업계관계자들이 모이는 .. 결국 디바이스를 지배하는 자가 승리자다 지난번 레터에서부터 계속 새로운 디바이스에 대해 이야기 해주셨는데오늘의 레터에서는 지난 레터의 이야기 중심이었던 오라이언을 계기로 왜 우리가 넥스트 스마트폰을 찾아야만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로 이루어져있었다. 오늘의 Index- 테크세계 중심의 소비자 디바이스- 개인 컴퓨터 시장의 40년간 성장- 스마트안경이 다음시대 컴퓨터일까- 인공지능 대모가 만든 스마트업 테크 세계의 중심에 소비자 디바이스가 있다.- 우리의 주변에는 수많은 디바이스가 있고, 우리는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 링 광고도 봤다,,,)소비자 전자제품은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돌아갈 수 있는 일종의 컴퓨터가 되어가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랩탑 같은 컴퓨터로 통합되는 추세이고 기존의 독립적인 전자제품도 점차 범용적인 컴퓨터로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대체할 성배 '오라이언' 메타가 공개한 AR 글라스 '오라이언'메타가 공개한 영상을 보면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데, 오늘의 레터에서는 오라리언에 대해 설명해주셨다. 오늘의 Index- AR글라스, 오라이언- 카메라 대신, 근전도 밴드- 상용화 시기와 극복 과제 AI 글라스 오라이언: 메타가 공개한 오라이언은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뿔테 안경보다 조금 더 두껍고 무겁다.(일반적인 안경은 10g, 뿔테는 30g, 오라이언은 98g의 무게를 가진다): 마그네슘 합금으로 만들어져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전자기기가 작동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분산시켜준다.: 오라이언의 시야는 70도라고 하며 이제껏 출시된 AR글라스 중 가장 좋은 스펙이라고 한다.착용 후기는 렌즈는 어두운 색 처럼 보이지만 일반 안경처럼 외부 환경이 선명하게 보이고 해당도.. 실리콘밸리에서 그동안 있었던 일 * 미국에는 추석이 공휴일이 아니기 때문에 평소와 같은 일상이었을 것이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오늘의 Index- 오픈 AI o1-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2- 세일즈포스 드림포스 2024- MADE on Youtube- 스냅 AR안경 오픈AI o1,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 시간으로 13일 금요일 새벽, 오픈AI가 새로운 AI 모델을 공개: 오픈AI가 공개한 모델은 '딸기' 라는 프로젝트 명으로 불리고, 1년 전에는 Q*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Q*은 AI가 수학 문제를 스스로 풀었고, 이것이 일반인공지능이고 이것 때문에 샘 올트먼이 쫓겨났다는 음모론이 시작된 AI이다.: 새로운 모델의 이름은 o1으로, 가장 큰 특징은 '사고의 연쇄'라고 하는 단계적 사고이다. 기존 거대언어모.. 딥페이크, 블록체인 증명이 잡는다? * 최근 교육계를 중심으로 딥페이크 논란이 크게 일고 있다. 딥페이크는 AI와 같은 도구를 활용, 가짜 이미지나 영상을 만드는 것을 가리키며, 같은 반 급우의 사진을 악용해 가짜 포르노를 소셜 미디어에 유표하는 일이 빈번해지면서 이제는 크나큰 사회적인 문제로 부상했다.딥페이크 논란이 왜 일었는지, 전설의 투자자 크리스 딕슨이 말한 기술적 해법은 무엇인지 살펴보자. 오늘의 Index- AI 딥페이크의 역습- 블록체인 증명이 뜬다- 미국 주가, 오를까?- 우버가 뛰어든 자율차 AI의 불법 진화, 딥페이크의 역습- 한국 피해자 비중 크다: 전 세계 80억 인구 가운데 한국인은 고작 5200만명으로 비중이 0.65%에 불과하지만, 딥페이크 피해자 비중은 무려 25%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K팝이 인기를 끌.. AI에게 인간이 필요한 이유 * AI의 정능은 초기 생성형 AI와 비교했을 때보다 점점 좋아지고 있지만, AI를 너무 맹신해서는 안된다.AI는 대단한 도구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상당히 나약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오늘의 Index- AI 학습 데이터 넣었더니 붕괴- 이전 학습을 기억 못하는 AI- 과대 평가된 추론 능력 AI 데이터만 학습, 붕괴해 버린 AI챗GPT와 같은 거대언어모델(LLM)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로 학습된 AI로,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인간이 만든 언어를 학습할 수 있으며, 이를 이간의 언어로 전달해 줄 수 있다. 한 과학자의 실험 'AI가 만든 콘텐츠가 모든 정보를 뒤덮는다면, AI가 학습할 정보가 오로지 AI로 만들어진 콘텐츠밖에 없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1) LLM을 이용해 위키백과와 유사한 항목을.. 독점 기업 낙인 찍힌 구글... 인터넷의 판도가 바뀐다. * 이번달 5일 구글의 '검색 서비스'가 미국 연방법원에 의해 독점으로 판결이 내려졌다?- 그냥 독점이 아닌 1890년 지정된 유서깊은 반독점법인 '셔먼법'에 따라 구글의 독점은 불법으로 컨펌되었다.- 이 불법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구제조치를 앞으로 몇주내에 내릴 예정인데, 구제조치에 따라 인터넷의 판도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어떤 구제조치가 나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뉴스 기사에 따르면 구글이 스마트폰 웹 브라우저에서 자사의 검색 엔진을 기본값으로 설정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반독점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판결했다. 즉, 구글이 구글을 자동검색 엔진으로 하는 조건으로 매년 수십억 달러를 지불하며 검색 시장 독점을 함으로써 검색 광고 시장 장악으로 이어져 소비자 피해로 연결되었다고 지적한 것이다.. 성공을 위한 세가지 규칙 : 아이디어 미로 게임 * 테그 업계에서 가장 핫한 소식: 연쇄 창업자인 이승윤 대표가 이끄는 스타트업 PIP랩스가 창업 2년만에 3조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다.: PIP 랩스는 지식재산권 생태계 플랫폼인 스토리의 개발사: 는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고 수익을 창출하도록 돕는 플랫폼으로 AI가 발전하면서 데이터를 불법 학습하는 문제점에서 착안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 오늘의 Index- 성공 루트를 찾아라- 실패는 당연하다- 몰입도를 높여라 규칙1. 아이디어 미로, 성공 루트를 찾아라- 네트워크 승수를 활용하라: 이승윤 대표는 자신의 행운 중 하나가 a16z의 파트너인 크리스 딕슨을 만난 것이라고 말했다.: 깃허브가 오픈소스에 올라타 글로벌 네트워크로 발전한 사례를 전해듣고 이라는 이론에서 '미디어 비지니스 모델의.. 이전 1 2 3 4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