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차] HDD와 SSD 차이
프로세서는 산술 연산과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 주 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는 기억과 저장을 담당하며,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는 운영자와 상호작용한다. 컴퓨터를 추상화한 논리적/기능적 아키텍처를 살펴보면 프로세서, 주 기억 장치, 보조 기억 장치, 다양한 구성요소(디스플레이 화면, 입출력 장치 등)이 존재하며 그 중간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버스(bus)라는 여러 개의 전선이 있어 서로 연결되어 있다. https://kcode-recording.tistory.com/151 [2일차] 프로세서 속도와 심장 박동수 완성된 장치가 범용 컴퓨팅 기계가 되려면 산술 연산, 기억-저장, 제어, 운영자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특정 주요 기관을 포함해야 한다. 위의 내용은 1일차의 맨 처음 나왔던 인용구로 컴퓨팅 기 ..
[2일차] 프로세서 속도와 심장 박동수
완성된 장치가 범용 컴퓨팅 기계가 되려면 산술 연산, 기억-저장, 제어, 운영자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특정 주요 기관을 포함해야 한다. 위의 내용은 1일차의 맨 처음 나왔던 인용구로 컴퓨팅 기계의 조건이 나와있다. 이는 아래와 같이 해석이 가능하다. 프로세서는 산술 연산과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 주 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는 기억과 저장을 담당하며,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는 운영자와 상호작용한다. 컴퓨터를 추상화한 논리적/기능적 아키텍처를 살펴보면 프로세서, 주 기억 장치, 보조 기억 장치, 다양한 구성요소(디스플레이 화면, 입출력 장치 등)이 존재하며 그 중간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버스(bus)라는 여러 개의 전선이 있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오늘 읽어본 내용은 프로세서와 주 기억 장치에 대한 내..
[1일차] 컴퓨터의 논리와 구조
완성된 장치가 범용 컴퓨팅 기계가 되려면 산술 연산, 기억-저장, 제어, 운영자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특정 주요 기관을 포함해야 한다. - 아서 벅스, 허먼 골드스타인, 존 폰 노이만, 1946 컴퓨터의 구조는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로 나눈다. 논리적(기능적) 구조 - 어떤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고, 어떤 일을 하며, 어떻게 연결되는가 물리적 구조 - 각 부분이 어떻게 생겼고,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자책 등 전문화된 장치, PC와 같은 장치들은 모두 다르게 생겼고 사용하는 느낌도 다르지만, 내부 작동 원리는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예시] 자동차의 기능적 구조 자동차에는 연료로 작동되고, 차를 움직이게 하는 엔진이 존재하며, 운전자가 차를 제어할 때 사용하는 핸들 등이 존재 자동차..